컴투스USA 이규창 대표가 블록체인 게임을 운영하며 얻은 경험을 아낌없이 공유했다.
이 대표는 21일(현지 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에서 진행 중인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2023(이하 GDC)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강연에서 게임토큰을 목적으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를 경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게임 플레이는 물론 게임 속(인게임) 경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유다.
블록체인 게임은 게임에서 얻은 아이템 혹은 활동에 대한 보상을 토큰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게임으로 돈을 버는 P2E(플레이 투 언)다. 이는 많은 유저를 불러 모으는 강점으로 꼽힌다.
그는 “처음에는 많은 유저가 접속하는 것에 고무됐다. 하지만 다수의 유저가 토큰을 벌기 위해 들어오는 것으로 분석됐다”라며 “많은 유저가 토큰을 얻은 뒤 게임에서 나가는 것을 반복했다. 게임에서 얻은 토큰이 재투자되지 않으면서 인게임 경제가 타격을 입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저에게 너무 쉬운 방법으로 많은 보상을 제공했다. 이는 토큰시세 폭락에 많은 영향을 줬다” 실패의 이유를 제시했다.
이를 근거로 이 대표는 게임마다 다른 경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게임토큰과 다른 통화 간의 비율을 유지하는 것도 건전한 생태계 주장에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구체적인 사례는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이하 크로니클)’ 블록체인 버전을 중심으로 소개됐다. 이 게임은 오는 7월에 블록체인 게임으로 전환해 XPLA 생태계에 합류할 예정이다.
이 대표는 “게이머가 시간과 노력을 들여 가치 있는 아이템을 만들고, 게임 속에서 유통 및 순환되도록 유도해 소유권을 보장하는 P2O(플레이 투 오운) 모델을 도입할 예정”이라며 “‘크로니클’은 지속가능한 웹3 게임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한국게임미디어협회(KGMA)와 게임기자클럽의 GDC 공동취재단 취재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