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e뉴스

네이버 단신, '네이버 1784' 사옥 소식 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네이버,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2 공개 기념 1784 사옥 루버 이벤트 진행

-네이버(대표이사 최수연)가 넷플릭스의 <오징어 게임> 시즌2 공개일인 지난 26일(목) 저녁 네이버 1784 사옥 창문에 부착된 수직 루버를 활용한 이벤트를 진행했다.

네이버는 햇빛을 차단하는 수직 루버를 조정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과 넷플릭스와의 제휴를 의미하는 ‘네넷’이라는 글자를 1784 사옥 전면에 연출했다. 해당 이벤트는 이날 저녁 7시부터 약 2시간 동안 경부고속도로 방면의 1784 사옥에 노출됐다.

또 가면과 핑크색 수트를 입은 <오징어 게임>의 대표 등장인물인 핑크가드들이 사옥 안에서 바깥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도 이용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회사 측은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2 공개를 기념하여 많은 대중들이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이벤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는 지난달 26일부터 넷플릭스와의 제휴를 통해 국내 IT 플랫폼 멤버십 서비스 중 최초로 넷플릭스 이용권을 제공하고 있다. 멤버십 이용자들은 월 4900원의 구독료(연간 이용권 월 3900원)로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를 디지털 콘텐츠 혜택으로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 네이버 D2SF에서 투자한 스타트업 10팀이 ‘CES 2025’에 참여

네이버 D2SF(D2 Startup Factory)가 투자한 스타트업 10팀이 세계 최대 IT·가전 기술 전시회 ‘CES 2025’에 참여합니다. 대부분은 이미 글로벌에서 비즈니스를 활발히 진행 중인 곳으로, 이번 ‘CES 2025’를 통해 글로벌 존재감을 한층 넓히고 시장 확대에 나설 것으로 기대됩니다. 

네이버 D2SF가 투자한 스타트업 중 이번 ‘CES 2025’에 참가하는 곳은 ▲젠젠에이아이 ▲큐빅 ▲가우디오랩 ▲누비랩 ▲제제듀 ▲더웨이브톡 ▲레티널 ▲블루닷 ▲모빌테크 ▲뷰런테크놀러지로, AI부터 몰입형 기술(Immersive Technology), 모빌리티, 디지털트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술 분야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이 중 ▲AI 오디오 기술 스타트업 ‘가우디오랩’ ▲AI 합성 데이터 기술 기업 ‘젠젠에이아이’ ▲AI 식습관 관리 솔루션을 개발한 ‘누비랩’, ▲미생물 센서 전문 스타트업 ‘더웨이브톡'은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먼저, AI 영역에서 젠젠에이아이는 국방・방위, 보안・관제 등 도메인 특화 합성 데이터 생성 플랫폼 ‘젠젠스튜디오’와 이를 통해 생성한 합성 데이터를 선보입니다. 큐빅은 별도의 프롬프트 입력 없이 간단한 마우스 조작만으로 합성 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과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 검증 등을 이어갈 수 있는 azoo 솔루션을 전시합니다.

각 버티컬 분야에 특화해 AI 솔루션을 개발한 스타트업들도 출전합니다. 먼저 오디오 분야에서 가우디오랩은 혁신상을 수상한 기술을 적용해, AI 기반 저작권 문제 음원 탐지 및 교체 솔루션 ‘가우디오 뮤직 리플레이스먼트’의 데모를 선보입니다. 누비랩은 어린이용 AI 식습관 코칭 솔루션 '냠냠키즈'를, 에듀테크 스타트업 제제듀는 AI 풀이 첨삭 및 맞춤 학습 플랫폼 ‘체리팟’을 전시할 계획입니다. 더웨이브톡은 혁신상을 수상한 실시간 박테리아 측정 장비를 공개합니다.

몰입형 기술 영역에서 레티널은 독자적인 광학 모듈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통신사 그룹과 협력한 결과물인 AR 스마트글래스를 시연하고, 블루닷은 영상 콘텐츠 품질 개선 및 용량 최적화 솔루션을 선보입니다. 모빌리티 및 디지털 트윈 영역에서 모빌테크는 라이다 센서 기술을 활용해 실제 환경을 디지털 트윈으로 구축하는 과정과 데이터 수집 및 매핑 디바이스 ‘Replica Lite’의 실물을 전시합니다.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뷰런테크놀로지는 차세다 라이다 센서인 Vue X 를 최초 공개합니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네이버 D2SF 전체 포트폴리오 110여 개 팀 중에서 약 80%가 이미 글로벌 비즈니스에 본격 나서고 있을 만큼 글로벌 시장 공략에 대한 스타트업의 니즈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내년에는 북미 현지 스타트업을 한층 공격적으로 발굴하고, 현지 기업·투자사·창업가 네트워크 강화해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성장을 적극 돕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