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T 뉴스
-웹젠(대표 김태영)의 2023년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참가자 수는 4,092명으로 역대 최대 인원을 기록했다. 웹젠은 성남시청소년재단(대표 최원기)과 코로나19가 사그라든 2022년부터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을 다시 강화하면서 사회공헌 활동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웹젠은 지난 11월 총 11개 고등학교의 131명이 참여한 청소년 ICT 발명품 경연대회 '챌린지 프로젝트'를 주최했다. 지난해 2회차를 맞은 챌린지 프로젝트는 판교와 야탑 소재 ‘청소년코딩공작소 with 웹젠'의 1년 교육과정에 참여한 성남지역 고등학교 동아리가 겨루는 대회로 대상팀에게는 실제 특허출원 비용 전액을 지원하는 특전을 제공한다. 웹젠은 시범 도입한 전년도에 비해 참여학교를 두 배 가까이 늘리며 본 대회를 정례화 했다. 이어서 인터넷과 게임 과몰입 예방 프로그램인 '굿게이머 교실'도 확대 운영했다. 웹젠이 국내 게임사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2022년부터 시작한 프로그램은 지난해 성남지역 초등학교의 학급 단위 신청이 늘면서 연간 15개 학교의 112학급에 전문 교육을 제공했다.
-엔에이치엔 클라우드(NHN Cloud, 대표 김동훈, 이하 NHN클라우드)는 메시징 솔루션 ‘NHN Cloud Notification’ 서비스 만족도 조사에서 ‘API 개발 편의성’ 항목에 90%가 ‘만족’으로 답했다고 8일 밝혔다.
'NHN Cloud Notification(이하 NHN 노티피케이션)’은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해 고객사가 보유한 다수 회원을 대상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다. 푸시, 이메일, 카카오 비즈메시지, SMS, RCS, 국제SMS 등 다양한 채널의 메시지 발송 기능과 부가 기능을 커머스, IT, 유통을 비롯한 다채로운 업종의 고객사에 제공하고 있다. 최근 NHN클라우드는 NHN 노티피케이션을 도입한 고객사 관계자 8,983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진행해 ‘API 개발 편의성’ 항목에서 90%의 높은 만족도를 확인했다.
-글로벌 블록체인 메인넷 ‘XPLA(엑스플라)’는 웹3 콘텐츠 솔루션 기업 ‘갤러리쓰리(Gall3ry, 대표 이효섭)’와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갤러리쓰리는 SNS와 블록체인을 넘나들며 NFT 홀더 간의 교류를 확장시키고, NFT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갤러리쓰리의 ‘온체인 콘텐츠 솔루션(OCC)’은 자신이 보유한 디지털 에셋을 ‘토큰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홀더들은 갤러리쓰리 플랫폼에 NFT 작품을 전시하고 커뮤니티에 확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NFT 홀더들은 각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며 색다른 소유 경험을 얻을 수 있다. XPLA에도 관련 서비스들이 연계되면 NFT를 일차원적으로 소유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NFT 홀더들 간에 연결과 확산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텔은 글로벌 투자 회사 디지털브릿지 그룹(DigitalBridge Group)과 함께 기업 고객에게 최적화된, 안전한 풀스택 생성형 AI(GenAI)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독립 회사인 아티큘8 AI(Articul8 AI, Inc., 이하 아티큘8)를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플랫폼은 고객 데이터 학습 및 추론을 기업 보안 경계 내에서 제공하는 AI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고객에게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또는 하이브리드 배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인텔 CEO 팻 겔싱어(Pat Gelsinger)는 “아티큘8은 AI 및 HPC 분야의 전문 지식과 기업용 생성형 AI 배포를 바탕으로 인텔을 비롯해 다양한 고객과 파트너로 이루어진 방대한 생태계에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입지에 있다”며 “인텔이 AI 에브리웨어(AI Everywhere) 구현 가속화에 힘쓰고 있는 만큼, 앞으로 아티큘8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 기타
-카카오 관계사의 준법・윤리경영을 지원하는 외부 기구인 ‘준법과신뢰위원회(이하 준신위)’가 8일 회의를 열고 ‘준법 시스템’, ‘신뢰∙상생’ 2개 소위원회를 구성하기로 의결했다. 각 소위는 준신위의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운영을 위해 위원회 전체 차원에서 살펴봐야 할 안건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
먼저 준법 시스템 소위는 김소영 위원장과 안수현 위원(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영주 위원(경기도사회적경제원 이사장)이 소위원으로 활동하며, 카카오 관계사가 준법경영을 제대로 실천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선방향과 운영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신뢰・상생 소위는 김용진 위원(착한경영연구소 소장), 유병준 위원(서울대학교 경영대 교수), 이지운 위원(서울신문 전략기획실장)으로 구성됐으며, 카카오의 신뢰 회복을 위해 각 리스크를 평가하고 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