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믹스 코인의 1차 바이백을 완료한 위메이드가, 향후 진행할 위믹스 페이 기반 정기 바이백의 계획을 발표했다.
위믹스 재단은 지난 15일 위믹스 코인 1차 바이백에 대한 외부 회계 법인의 검증 작업과 보고서 발행이 완료됐다며 최종 정보를 공개했다.
1차 바이백은 3월 14일부터 4월 21일까지 진행됐으며, 매수 금액은 10,277,946,281원이다. 여기에는 기타 비용 19,325,272원이 포함됐는데, 이는 원화 입금액 한도의 적용을 받는 특정 거래소로의 테더(USDT) 전송 수수료 및 매도/매수 차액을 포함하고 있다. 재단 측은 가능한 빠른 바이백 진행을 위해 부득이하게 테더를 사용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매수 수량은 10,050,534.40 위믹스이며 국내 거래소에서 7,023,383.61개, 해외 거래소에서 3,027,150.79개를 매수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지갑 주소도 공개했다. 이번에 검증을 진행한 외부 업체는 대주 회계 법인이다.
이번에 탈취 사고 피해 복구를 위한 100억원 규모의 1차 바이백이 진행됐으며, 2차로 탈취 피해의 산술적 복구만이 아닌 생태계의 빠른 안정화를 위한 2,000만 위믹스 코인 추가 바이백이 진행될 예정이다.
그리고 바이백 수량은 취지와 매수 거래소 유형에 따라 회계 관리 측면에서의 고려 사항을 반영하고, 거래 내역에 대한 커뮤니티의 직관적 이해를 돕기 위해 국내 및 해외 1차 바이백, 국내 및 해외 2차 바이백 등 4개의 지갑으로 구분해 보관한다는 계획이다.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바이백 수량은 약 3천만 위믹스인데, 국내 및 해외 거래소로 구분해 진행되는 관계로 회계 관리의 적절성과 자산 보관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고려해 이 같은 방식을 진행하게 됐다고 재단 측은 설명했다.
더불어 위믹스 재단은 위믹스 코인의 정기 바이백 플랜을 16일 공개했다. 위믹스 페이를 통해 발생한 수익의 4~5%를 바이백 기금으로 정하고 바이백 진행에 할당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위믹스 페이를 통해 이뤄진 모든 결제 수단이 포함된다.
매수 방식은 시간가중평균가(TWAP) 주문을 적용, 시간가 중에서 평균 가격으로 주문이 이뤄진다. 기간은 최소 3주에서 최대 1년이며, 매수 개시일로부터 1개월 이내 시작될 예정이다. 재단 측은 당 수익이 발생한 다음 달 내에 시작하는 것이 원칙이나, 운영 상황에 따라 일정이 조정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조치는 토큰의 디플레이션 구조를 강화하고, 생태계 참여자에게 실질적 가치를 환원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는 평가다. 이를 통해 다시 위믹스의 신뢰가 회복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재단 측은 국내 4개 거래소의 위믹스 코인 거래지원 종료에 대응하는 동시에, 위믹스 생태계의 성장을 위해 더욱 최선을 다 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