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e뉴스

넥슨, 미-일 업체에 약 1조원 투자...핵심은 “IP 확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넥슨이 작년 발표했던 15억 달러에 대한 투자처가 일부 공개됐다. 바로 미국 완구 업체 해즈브로와 일본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업체인 반다이남코-코나미-세가 사미 등의 지주회사다. 

넥슨은 29일 공식 발표를 통해 지난해 6월 발표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회사에 대한 15억 달러(한화 약 1.7조 원) 규모의 투자 현황과 주요 투자처를 공개했다. 

투자한 업체는 미국의 완구 회사 해즈브로와 일본의 반다이남코 홀딩스, 코나미 홀딩스, 세가 사미 홀딩스 등 4개 업체다. 넥슨의 공개 기준을 채우지 않는 그 외의 투자처는 공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들에게 투자한 금액은 15억 달러 중 절반이 살짝 넘는 58%에 해당하는 8억 7,400만 달러(한화 약 9,870억원)이며, 투자 이후 발생한 미실현이익은 2억 7,900만 달러(한화 약 3,151억 원)이다. 

넥슨은 이번 투자가 저금리 환경에서의 현금의 유효한 활용 방법이며, 현재까지의 결과에는 매우 만족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들 업체에 대한 인수 및 경영 참여 계획은 없으며, 이번 투자의 조건에 협업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장기적 관점의 파트너십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공통 부분이 있다. 바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우수한 IP(지적재산권)를 개발하고 성장시킨 회사들이라는 것. 과거 네오플로부터 자본을 차입해 투자금을 만든 당시 “강력한 IP 자산을 가진 글로벌 상장사에 소수 투자자로 참여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는데, 그에 어울리는 대상을 선정해 투자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해즈브로는 ‘지 아이 조’, ‘트랜스포머’, ‘조이드’, ‘마이 리틀 포니’ 등의 IP를 가지고 있고, 완구는 물론 ‘인생게임’, ‘모노폴리’, ‘젠가’ 등의 보드 게임도 만들었다. 그리고 자회사인 해즈브로 스튜디오를 세우고 TV 및 극장을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등 엔터테인먼트에서도 활발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 앞서 언급한 IP를 가지고 다양한 게임 개발도 추진했다. 참고로 지난 2014년 넥슨은 ‘카트라이더’를 통해 트랜스포머로 협업을 진행한 바 있다.

반다이남코 홀딩스는 2005년 반다이와 남코가 합병해 만든 지주회사다. 반다이는 ‘건담’, ‘디지몬’, ‘가면라이더’, ‘요괴워치’ 다양한 IP를 가지고 있고, 자회사인 선라이즈는 ‘건담’, ‘슈퍼 그랑죠’, ‘골드런’ 등 거대 로봇물과 ‘은혼’, ‘사이버포뮬러’ 시리즈를 비롯한 다양한 애니메이션 IP를 가지고 있다.

또 남코는 ‘갤러그’나 ‘디그더그’, ‘제비우스’ 등 추억의 게임부터 ‘철권’, ‘에이스 컴뱃’, ‘아이돌 마스터’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게임 IP를 보유하고 있다. 즉 반다이남코 홀딩스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완구를 아우르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코나미 홀딩스는 가정용 게임을 만드는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와 아케이드 및 파친코 게임을 만드는 코나미 어뮤즈먼트로 이뤄져있다. 코나미는 ‘그라디우스’, ‘콘트라’, ‘트윈비’ 등 추억의 게임은 물론 ‘메탈기어’와 ‘악마성’, ‘BEMANI’, ‘유희왕’, ‘PES’ 시리즈 등의 게임 IP를 가지고 있다.

세가 사미 홀딩스는 2004년 세가와 사미가 합병해 만든 지주회사다. 세가는 메가드라이브나 새턴, 드림캐스트 등 게임 플랫폼까지 만들었던 게임 전문 업체다. 그리고 ‘아웃런’, ‘버추어파이터’, ‘소닉’, ‘나이츠’를 비롯해 ‘용과 같이’ 시리즈와 ‘하츠네 미쿠’ 등의 게임 IP를 보유하고 있다.

사미는 파친코 기계 사업으로 유명한 업체지만 어뮤즈먼트 사업과 리조트 사업도 함께 하고 있다. 영종도에 위치한 파라다이스 시티가 세가 사미의 45% 지분 참여로 만들어졌다.

이번 투자를 통해 넥슨은 이들 업체들이 보유한 IP를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또 단순히 게임 만이 아닌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의 확장을 시도하는 부분도 있다. 이미 MCN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에도 투자한 만큼 그 방향성도 다양하다.

다른 경쟁사들도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IP 제작 및 확보를 위한 투자를 지속해왔다. 컴투스는 엔터테인먼트 제작사 스카이바운드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해 주력적 ‘서머너즈 워’의 콘텐츠 확장 작업을 진행했고, 크래프톤은 드라마 제작사인 히든시퀀스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다.

넷마블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지분 투자를 단행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엔씨소프트도 레진코믹스와 재담미디어, 문피아 등 만화-소설 업체에 투자를 진행했고 연예기획사인 iHQ와 손잡은 바 있다.

해외 업체인 텐센트나 마이크로소프트, 징가, 소니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등 이른바 글로벌 자본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넥슨의 이번 투자가 어떤 결과를 낼지, 그리고 나머지 42%의 투자금은 어떤 기업과 분야로 가게 될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