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 박병무 공동대표가 신작 '아이온2'가 한국과 대만 지역에 먼저 출시된다고 언급했다.
12일 엔씨소프트가 진행한 2024년 4분기 컨퍼런스콜에서 박병무 공동대표는 회사의 향후 계획에 대해 밝혔다.
먼저 MMORPG의 연속성 전략 대응책에 대해 박 대표는 “MMORPG 시장 성장 둔화는 ‘리니지’와 비슷한 장르가 나왔기 때문이다. 좀 더 새로운 경험이 있는 MMORPG가 나온다면 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TL’의 글로벌 서비스로 해외 MMORPG 포텐셜 유저가 많다는 걸 느꼈고, 아직 공급이 부족하다. 누적 유저가 700만 명을 넘을 정도로 의미가 있는 작품이 됐다. 시장에서 원하는 게임이 나오면 더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아이온2’에 대해서는 “플랫폼에 따른 차이가 나고 있고, 플레이나 콘텐츠 및 BM에 따라 차이가 나고 있다. ‘아이온2’는 한국과 대만 유저도 맞고 글로벌에 맞는 게임으로 개발했지만, 동시 출시에 대한 고민 끝에 연내 하반기에 한국과 대만에 선출시하고, 북미/유럽은 현지화 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규 IP에 대한 투자 규모 계획에 대해서는 “2개의 해외, 2개 국내 게임사와 퍼블리싱 계약을 했고 6~700억을 투자했다. 향후에도 지속 투자할 것이다. 작년에는 서브컬쳐와 슈팅에 주로 투자했다. 우리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액션 RPG에도 투자한다. 그 외에 모바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에 대한 M&A를 추진했지만, 가격 차이가 있어 성과를 거두진 못하고 있다. 하지만 꾸준히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연내 추가 구조 개선 진행 여부에 대해서는 "본사 인원이 3,100명으로 감축됐다. 향후 회사 조직 구조가 가시화됐기에, 효율적 인원 배치와 조직 구성을 위한 효율화를 해 나갈 것이다. 신작이나 신규 IP 게임은 자회사나 스튜디오, 투자를 통해 진행하는 것을 큰 방향으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택탄’을 비롯한 신작의 상황에 대해서는 "각 장르에 맞는 퍼블리싱 조직을 매칭시켰다. 성과를 많이 내도록 계획을 다시 짜고 있다. ‘LLL’은 하반기 출시가 가능하며, ‘택탄’은 효과적인 출시 상황을 검토하고 있으며 퍼블리셔를 통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퍼블리싱 조직에 대한 보강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AI 전략에 대해서는 "AI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오랜 기간 AI의 폴리싱을 해왔다. 자체 LLM 뿐만 아니라 외부 AI도 써왔다. 우리의 AI에는 아트 부문의 특화된 애셋이 많다. 우리의 특화된 AI는 게임 개발과 운용, 프로세스 등이 있다. 분사를 통해 우리의 경쟁력을 고도화시켜 제3자에게 적용시켜 수익사업으로 바꾸자는 전략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