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은 12일, 2025년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 온라인 쇼케이스를 진행하며 정식 출시일을 3월 20일로 확정했다. 전작 'RF 온라인'은 지난 2004년 서비스를 시작해 글로벌 54개국 2천만 명의 유저들이 즐긴 글로벌 IP 작품이다.
넷마블N2 홍광민 개발 총괄 PD는 "RF 온라인 넥스트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성장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라면서, "캐릭터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성취감을 드리는 것이 핵심 목표"라고 전했다.
'RF 온라인 넥스트'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3개 국가 간의 대립을 바탕으로 바이오 슈트와 비행 액션, 메카닉 장비 등 다채로운 SF 요소를 결합해 PC와 모바일의 크로스 플랫폼으로 서비스된다.
■ 자유로운 직업 체계, 바이오슈트
캐릭터는 자유롭게 여러 바이오슈트로 전환하여 다양한 클래스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다. 정식 런칭에서는 총 6종의 바이오슈트를 선보인다.
퍼니셔, 사이퍼, 테크니션은 원거리 클래스이며, 팬텀, 드레그노트 ,인포서는 근거리 클래스로 구분된다. 원거리 클래스는 총과 포스, 드론 등을 주무기로 사용하며 근거리 클래스는 쌍검, 양손 도끼, 검과 방패를 사용한다.
슈트 교체는 별도 비용 없이 이뤄지며, 슈트가 가진 모든 전투 기능과 스킬이 변경된 슈트에 맞게 자동으로 변경된다. 무기를 제외한 장비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 또한 도시상인을 통해 동일 무기로 변경 가능하다.
■ 압도적 성능의 전투기기, 신기
3개 국가에는 전투 기기라 불리는 메카닉, 신기가 존재한다. 신기에 직접 캐릭터가 탑승하거나 소환해 전투를 풀어나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신기의 종류는 벨라토의 MAU, 아크레시아의 런처, 코라의 애니머스로 분류된다.
MAU는 직접 탑승 가능하고, 육탄전도 벌이는 메카닉이다. 런처는 호출하면 자동으로 전투를 진행하며, 포를 통한 원거리 화력이 특징이다. 애니머스는 소환하는 순간 스킬을 사용하고 사라지지만, 강력한 화력으로 전장을 지배한다. 애니머스를 소환할 때 사용하는 로버는 행성 곳곳에서 획득할 수 있다.
신기는 과금 없이 초반 스토리를 통해 획득할 수 있고, 플레이를 통해 성장하게 된다. 최대 레벨을 달성한 후에는 다음 등급 신기를 제작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각 신기의 최고 등급까지 모두 획득할 수 있다.
■ 대규모 전장 콘텐츠 4종
다수의 유저들과 펼치는 전장 콘텐츠 4종을 선보인다. 우선, 3개국 최대 450인이 참여하는 대규모 길드 전쟁 콘텐츠, 광산 전쟁은 예선전인 전초전을 거쳐 서버 내 최강자를 가리는 국가전으로 이어진다.
국가전에서는 지상 외에도 비행을 통해 침투 가능한 경로를 제공해 전략적인 플레이를 도모할 예정이다. 최종 승리 길드는 서버 내 거래소의 세금을 차지하며, 광산 채굴권을 가져가 길드만 입장할 수 있다.
그밖에 우주 정거장 낙원을 두고 벌이는 4개 길드 간의 전투 '낙원 쟁탈전', 강력한 보스 독점을 두고 힘으로 겨루는 PK 필드 '격전지', 행성 소유권을 두고 대립하는 월드 단위의 대규모 전쟁 '행성 점령전' 등의 전장 콘텐츠를 런칭 후 순차적으로 오픈한다.
■ 유저 지향적인 파밍과 보상, 과금의 3박자
'RF 온라인 넥스트' 운영의 핵심 요소 3가지로 ▲파밍의 재미와 가치 ▲거래 및 보상 분배의 편의성 ▲과금 피드백 명확화를 강조했다.
파밍의 재미와 가치를 위해 과금과 파밍의 영역을 구분했다. 신기를 파밍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핵심 재화와 아이템은 넓은 필드에 분포하여 다양한 레벨의 유저들이 사냥의 재미를 느낄수록 준비했다.
성장에 필요한 핵심 아이템은 제작, 사냥, 레이드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아이템들은 거래소 뿐만 아니라 1대 1 거래도 가능하다. 그리고, 길드 경매를 통해 길드 분배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해결해 투명성을 보장한다.
과금 유저의 허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확률형 과금을 특정 수준까지 진행했을 때 확정적으로 전설 소환권 등을 지급하는 천장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리고, 과금이나 다이아 소비를 통해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