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젠이 지스타 2025에 신작 '게이트오브게이츠'를 선보이며 유저들을 맞이했다. 이번 지스타에서 첫선을 보인 게임은 체험 버전과 함께 다양한 유저 행사를 진행하면서 눈길을 모았다.
11월 13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한국 최대 게임쇼 지스타 2025가 진행된다. 현장에는 다양한 게임사들이 참가를 알리며 신작과 함께 기존 대작들을 들고 개별 부스를 마련했다. 웹젠은 출시를 앞둔 '테르비스'와 신작 '게이트오브게이츠' 등 2종으로 현장 관람객들에게 다가섰다.
'게이트오브게이츠'는 웹젠이 서비스하고 리트레일이 개발한 서브컬처 게임이다. 이제 막 설립 1년차를 맞이한 신생 개발사 리트레일은 첫 작품인 '게이트오브게이츠'로 지스타에 나서면서 게임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향후 비전 공유와 함께 유저들의 피드백을 듣기 위한 일정을 진행했다.
게임은 전략 디펜스 장르의 형태를 기본적으로 가져가고 있다. 서브컬처의 요소를 동시에 내포하며 유저는 다양한 캐릭터를 기반으로 몰려드는 적들을 물리치고 스테이지를 넘어 성장과 스토리를 이어가는 방식으로 게임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외형적으로는 애니메이션 기반의 그래픽으로 인해 가벼운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실제 플레이는 심오한 것이 핵심이다.
배경 스토리는 어둠고 진중하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속에서 미지의 게이트 발생과 함께 나타난 크리처를 물리치는 것이 주요 임무다. 유저는 갑작스러운 사고로 부관에서 지휘관이 되고, 12명의 전술의체와 전술 장비로 분대를 구성해 디펜스 전투에 나서는 것이 기본적인 설정으로 설계되어 있다.
각각의 게임 캐릭터(전술의체)들은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디펜스 플레이 중 가장 앞줄에서 효과적인 공격과 방어를 펼칠 수 있는 캐릭터가 있는가 하면, 후열에서 지원 중심의 플레이를 이어나가는 캐릭터가 존재한다. 유저는 덱의 핵심 구성을 맞춰 스테이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돌파해야 된다.
캐릭터의 배치에 이은 전투 과정은 난이도가 있는 편이다. 특히 캐릭터 배치를 위한 코스트 수급은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이뤄지지 않고, 코스트를 생산하는 전술 장비를 따로 배치하여 수동으로 수급해 나가야 한다. 여기에 각각의 캐릭터들은 배치 이후 지속적인 스킬 사용과 후퇴 배치를 반복 해야하는 캐릭터도 존재해 빠른 손놀림 기반의 조작과 대응을 요구한다.
'게이트오브게이츠'가 기존 게임들과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덱 육성이다. 게임은 하나의 캐릭터를 키워 성장해 나가는 것이 아닌, 캐릭터와 핵심 칩들을 조합해 매번 새로운 특징을 가진 덱으로 승부하는 것이 주요 게임성으로 소개됐다. 유저는 지속적으로 덱 육성에 도전하여 무작위로 부여되는 캐릭터의 능력치와 스킬을 조합하여 전략적인 승부에 나서야 된다.
때문에 덱의 특성에 따라 같은 스테이지에서도 다른 플레이를 펼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일부 상황에서는 뛰어난 성장에 성공한 덱만이 콘텐츠를 돌파할 수 있도록 설계돼 전략적인 게임성을 한층 강화한 것이 핵심이다. 유저는 반복되는 덱 설정과 플레이 속에서 깊이감 있는 게임성을 느끼는 것이 가능하다.
지스타 체험 버전에서는 짧은 체험 시간과 기본적인 스토리, 게임성을 경험할 수 있는 간단한 콘텐츠만 제공됐다. 깊이있는 게임 탐구는 어려웠지만, 대략적인 게임의 방향성과 앞으로 선보일 콘텐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되면서 기대감을 높였다.
유저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지스타 2025 개막날부터 50여 대의 시연존은 늘 관람객들로 꽉 찼고, 긴 대기열을 형성했다. 유저들은 매력적인 각각의 캐릭터와 함께 독특한 전략 디펜스 게임에 호평을 내놨다. 특히 요즘 게임들에서 보기 힘든 깊이감 있는 게임성은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신작 '게이트오브게이츠'는 이번 지스타 시연을 통해 유저 피드백을 반영하여 앞으로 완성도를 더욱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웹젠 역시 개발사인 리트레일과 발맞춰 게임의 차기 서비스 일정을 위한 노력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