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e뉴스

애플, ‘아이폰 14’ 일본보다 한국이 비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격동결 ‘아이폰 14’, 한국은 일본보다 비싸

애플의 신규 스마트폰인 ‘아이폰 14’의 베일이 벗겨졌다. 아이폰 14의 모델은 총 4종류로서, ▲6.1인치의 아이폰 14 ▲6.1인치의 아이폰 14 프로 ▲6.7인치의 아이폰 14 플러스 ▲6.7인치의 아이폰 14 프로 맥스로 나뉜다.

프로와 프로 맥스는 기존의 노치 디자인을 버리고, 사용하는 컨텐츠에 따라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보여주는 다이나믹 아일랜드가 탑재됐다. 또한, 프로 모델에만 A16 바이오닉 칩이 내장됐으며, 메인 카메라는 기존의 1,200만 화소를 버리고 4,800만 화소로 업그레이드됐다.

아이폰 14 프로와 프로 맥스(사진출처-애플)
아이폰 14 프로와 프로 맥스(사진출처-애플)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문제와 반도체 수급 문제로 인해 전체적인 가격 상승이 예상됐지만, 애플은 가격 동결을 택했다. 128GB 모델을 기준으로 ▲아이폰 14, 799달러(약 110만원) ▲아이폰 14 플러스, 899달러(약 124만원) ▲아이폰 14 프로 999달러(약 138만원), ▲아이폰 14 프로 맥스 1,099달러(약 151만원)로 아이폰 13 모델과 동일하게 책정됐다.

하지만, 환율로 인해 국내 출고가는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128GB 모델을 기준으로 ▲아이폰 14 125만원 ▲아이폰 14 플러스 135만원 ▲아이폰 14 프로 155만원 ▲아이폰 14 프로 맥스 175만원으로서, 단순히 원달러 환율로 계산하면 적게는 11만원에서 크게는 24만원까지 상승했다. 이전 모델인 아이폰 13의 출고가와 비교해도 모델에 따라 적게는 16만원에서 많게는 26만원까지 가격이 상승한 셈이다.

물론, 애플은 가격을 책정함에 있어 미국 출고가를 기준으로 환율과 관세율 등을 고려해 각 국가별 가격을 책정하기에 현재 환율과 비교해 가격이 높은 것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환율 여파로 인한 가격 상승을 감안해도 사용자가 체감하는 가격 상승 폭이 상당히 높은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일본은 출고가가 이전 모델보다 상승됐지만, 출고가 자체가 낮게 책정되어 있어 전체적인 모델이 국내 가격보다 10만원 안팎으로 저렴하다. 일본은 애플 스토어의 128GB 모델 기준 ▲아이폰 14, 11만 9,800엔(약 115만원) ▲아이폰 14 플러스, 13만 4,800엔(약 130만원) ▲아이폰 14 프로, 14만 9,800엔(약 144만원) ▲아이폰 14 프로 맥스, 16만 4,800엔(약 158만원)으로 책정됐다.

한편, 미국의 경제 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즈는 애플이 아이폰 14에 중국 국영 반도체 기업인 YMTC 양쯔메모리에서 생산한 반도체를 탑재한다고 보도했다. 이에 마르코 루비오 미국 연방 상원 정보의원회 부위원장과 외교위원회 마이클 매콜 위원은 “애플이 불장난을 하고 있다”며, “중국에 미국의 중요한 국가 안보 기술에 대한 통제권을 줄 수 있다. 애플은 연방정부로부터 전례 없는 정밀 조사를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애플은 YMTC의 반도체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출시 시점에 개별 구성 부품들의 제조업체에 대해 누설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이폰 14 출시 후 분해를 해봐야 YMTC의 반도체를 사용했는지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파이낸셜 타임즈는 미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서 출시되는 아이폰 14에 YMTC 반도체를 사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에서 판매되는 기기에는 YMTC 반도체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아이폰 14와 플러스(사진출처-애플)
아이폰 14와 플러스(사진출처-애플)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