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이 지난 지스타 2024 현장에 나서 신작 '몬길: 스타 다이브'를 관람객들에게 선보이고, 성공적인 후속작의 IP(지적재산권) 확장법을 보여줬다.
지난 11월 14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 2024에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게임사들이 모두 참석해 신작 경쟁을 펼쳤다. 넷마블 역시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신작들을 공개하면서 큰 관심을 끌었다. 신작 라인업은 '몬길: 스타 다이브'와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로 결정됐다.
넷마블의 신작들은 공개 단계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지금까지 넷마블이 보여준 인기 IP에 대한 게임 제작 성공 방정식이 모두 담기고, 미래를 바라본 확장법이 입혀지면서 게임 유저는 물론 관계자들의 이목이 쏠렸다. 특히 이번에는 넷마블 전통의 IP와 글로벌 인기 IP를 활용한 두 종의 게임이 최전선에 섰다.
특히 '몬길: 스타 다이브'는 지스타 2024의 최고 인기작으로 등극했다. 게임은 10여 년전 넷마블이 선보일 '몬스터 길들이기'의 후속작으로, 원작의 계승은 물론 새로운 시장과 유저들을 바라본 게임성으로 등장하면서 현장 관람객들의 호평이 이어졌다.
과거 넷마블의 '몬스터 길들이기'는 본격적인 모바일 수집형 RPG의 표준 게임성을 제시하며,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몬스터 길들이기' 이후 모바일 게임 시장은 캐주얼 중심에서 RPG 중심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이후 모바일이 PC 시장의 기반을 넘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넷마블은 신작 '몬길: 스타 다이브'를 통해 과거의 원작 유저들은 물론 새로운 시대의 유저 모두를 아우르기 위한 게임을 선보였다. 몬스터의 수집 활용의 게임성을 살리고, 원작 인기 캐릭터들이 다시 등장하지만, 핵심 게임성은 최근의 서브컬처 게임의 주요 재미들을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지스타 현장 시연 버전 기준으로 유저들은 3명의 캐릭터를 조합해 탐험과 전투에 나설 수 있다. 카툰식으로 확장된 '몬길: 스타 다이브'의 세계는 과거의 원작 게임을 생각나게 만드는 한편, 최근의 서브컬처 게임들에 익숙해진 유저들에게도 빠르게 다가설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하면서 눈길을 모았다.
이와 더불어 액션성 가득한 RPG 요소 역시 게임의 본 재미를 안겨주는데 성공했다. 각각의 캐릭터는 독특한 스킬과 무기, 궁극기로 꾸며져, 간편한 플레이 속에 '몬길: 스타 다이브'만의 재미를 녹여내기 위한 노력을 보여줬다. 이밖에 동료 몬스터 야옹이를 활용한 플레이는 반응이 좋았다.
게임의 초반부터 등장하는 동료 몬스터 야옹이는 '몬길: 스타 다이브'의 핵심 마스코트로 자리 잡으면서 전투와 몬스터 수집 등의 요소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임을 예고했다. 또한 귀여운 외모와 행동 등으로 추후 이어질 관련 굿즈 사업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돼 유저들 사이에서도 긍정적인 분위기가 이어졌다.
게임을 체험한 유저들은 대체로 좋은 반응을 남겼다. 시연 버전 전용으로 제작된 게임으로 인해 게임의 세부 시스템과 비지니스 모델(BM) 등을 확인할 수 없는 것은 아쉽다는 반응이 나왔으나, 대체로 게임의 초반 스토리와 액션성은 물론 그래픽과 캐릭터 구현은 훌륭하다는 후기를 볼 수 있었다.
넷마블은 지스타에서 얻은 '몬길: 스타 다이브'의 유저 후기를 바탕으로 게임의 출시를 위한 본격적인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게임은 2025년 정식 출시될 예정이며, 크로스 플랫폼 대응을 예고했다. 이와 함께 패드 지원 등 다양한 플랫폼의 유저들에게 다가서기 위한 방안들을 추가한다.
기존 인기 IP 게임들이 보여준 성공법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 아닌 새롭게 계승 발전시킨 넷마블만의 게임 제작과 서비스는 앞으로 더욱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성공적인 지스타 데뷔를 마친 '몬길: 스타 다이브'가 앞으로 어떤 행보를 이어갈지 관심과 기대가 쏠린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