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 e뉴스

라이엇게임즈, ‘발로란트’ 글로벌 3대 e스포츠 대회로 육성... 아시아 중심은 한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이엇게임즈가 ‘리그오브레전드’, ‘리그오브레전드: 와일드 리프트’에 이어 ‘발로란트’ e스포츠를 글로벌 흥행시키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라이엇게임즈는 21일 서울 CGV용산 아이파크몰에서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스테이지1 미디어 데이를 열고 올해 개최될 대회의 전반적인 개요를 설명했다.

‘발로란트’는 라이엇게임즈가 서비스하는 전략 슈팅게임이다. 고유 능력을 가진 캐릭터와 슈팅 게임의 재미를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또,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주요 지역에서 이미 e스포츠 리그가 개최되었으며, 지난해에는 글로벌 규모로 최고의 팀을 꼽는 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올해 대회부터 매년 지역 대회인 챌린저스, 스테이지 종료 뒤 열리는 글로벌 대회 마스터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최대 규모의 대회 챔피언스로 나뉘어 진행된다. 2022년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는 스테이지 숫자를 줄이는 대신, 경기 수를 늘렸다. 컵 대회의 틀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리그 운영을 위한 선택으로 풀이된다.

챌린저스는 오는 23일부터 3월까지 스테이지1이 개최된다. 상위 입상자는 국제 대회 마스터스 스테이지1에 참여한다. 개최일은 4월 중이다. 5월부터 6월까지는 스테이지2가 진행되며, 마스터스 대회는 7월로 예정됐다. 두 차례에 걸친 글로벌 대회에서 거둔 성과는 서킷 포인트에 반영된다. 8월에 진행되는 최종 선발전 성적을 기반으로 챔피언스 진출팀이 확정된다. 챔피언스 무대는 9월에 열린다.

한국 지역 대회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는 리그제와 토너먼트제를 융합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스테이지 대회는 지난해 3개에서 2개로 줄었지만 선수들과 팀이 참석하는 경기 수는 늘었다. 라이엇게임즈는 “참가 팀이 경기에 출전하는 횟수를 보장해 선수들의 경험과 다양한 전략을 시도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라고 설명했다. 상대 팀을 예측하기 어려웠던 기존 대회와 달리, 토너먼트 대진이 정해져 있다는 점도 달라진 점이다. 상대의 전력을 분석해 전략과 전술을 세울 수 있게 된다.

 

대회는 총 8개 팀이 참석한다.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 자격을 증명한 ▲온 슬레이어스 ▲홀리몰리 ▲마루 게이밍 ▲월드게임스타 엑스잇 ▲팀 티파이브 ▲담원 기아 ▲데스페라도 ▲디알엑스(DRX)다. 이 중 상위권 성적을 거둔 6개 팀으로 플레이오프가 꾸려진다. 첫 대회인 스테이지1 본선은 3선 2선승제로 진행되고, 모든 팀이 한 번씩 겨룬다. 팀당 경기 수는 7경기, 총 28경기가 싱글 라운드 로빈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는 승자전과 패자전으로 나뉘는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운영된다. 더 많은 기회를 부여하고, 팀의 전력이 결과에 온전하게 반영되게 만들기 위한 변화다. 플레이오프 역시 기본 3전 2선승제로 운영된다. 패자조 결승과 결승전은 5전 3선승제다. 스테이지1 최종 우승팀은 상금과 함께 마스터즈 대회 출전 기회가 주어진다.

라이엇게임즈코리아 신지섭 총괄은 “‘발로란트’는 글로벌 3대 e스포츠 대회로 규모를 키울 계획이다. 아시아 시장에서는 한국이 중심이며, 선수들이 경기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겠다”라며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를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 인정받는 최고 권위의 대회로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게임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지금 주목 받고 있어요
모바일버전